이곳은 고려 현종의 8대 손인 왕온의 묘로 전해지는 곳입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oZp1Q/btrs9iFrkxY/EVhwYsXCtKuApZ5q8MNa00/img.jpg)
원종 11년(1270)에 고려가 몽골에 40년 동안 저항했던 고려 왕실이 항복하게 됩니다.
그리고 몽골의 요청에 따라 피난갔던 왕실이 개경으로 돌아가게 됩니다.
이때 몽골 항복에 반대하여 왕족인 왕온을 새 왕으로 추대하고 몽골에 저항하기로 합니다.
이들이 삼별초인데요.
당시 삼별초를 이끌던 배중손과 노영희 장군이었습니다.
그들은 배 1천 여 척에 백성과 병사, 물자를 싣고 진도로 와서 독자적인 정권을 세우게 됩니다.
그러나 다음 해 고려 원종 12년(1271)에 고려와 몽고 연합군에 삼별초가 크게 패했고 왕온은 이곳에서 죽게 됩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S8dnS/btrs6aoy8fG/6eEhmZWgEoa5FLRnz1lU0k/img.jpg)
김용규가 지은 <옥주지>에 왕온의 기록이 나오며, <진도군지>에 의하면 왕온의 묘는 왕분치(王墳峙)라는 기록이 있습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kDifS/btrs9iyGay3/Pw3dtD6awHkf8jrzxnhOEK/img.jpg)
왕온 무덤은 흙으로 높게 쌓은 긴 타원형의 모양이며, 봉토 주위에는 무덤을 보호하기 위해 돌을 둘러 쌓았다. 고 하는데요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tGyKd/btrtei5JKhh/BdBZfyMOKRKbjYNGRkWeu0/img.jpg)
현재의 무덤은 도굴당한 채 방치되었던 것을 원래의 위치에서 약간 옮겨서 1978년과 1983년에 보수, 개축한 것입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dI9iXG/btrs7mvgpxW/dO5WcktIgoGSIIfKn24A91/img.jpg)
봉분의 규모는 직경 7m, 높이 2.5m 정도이며, 호석과 석인상이 세워져 있고요.
왕온의 무덤 아래 20m 거리에 있는 무덤은 그가 탔었다는 말의 무덤으로 전해집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QO8cH/btrs7A7Tc5Z/mKXWozHfvy5kagyRoZIhD1/img.jp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sG00G/btrs6aB5idg/EL5bs01gUlonyfyoyb9a1K/img.jpg)
주차장에서 왕온의 묘까지는 약 100미터를 올라야 합니다.
왕분치(王墳峙)에서 '치(峙)' 자가 높은 언덕, 고개라는 뜻인데요.
경사가 좀 가파릅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JcL0j/btrteixTSvQ/wxb5aksu8oi7OCSNqQPTvk/img.jpg)
경사길을 따라 한 100미터 정도 올라가는 것 같더라고요.
평평한 돌로 바닥을 정리해 놨기 때문에 경사가 가파른 것을 제외하면 올라가는데 문제가 되지는 않습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ZhQEH/btrtejp2OX3/jKvF9JGXBiJoRK8bSb99GK/img.jp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6AB5C/btrs6a26AhU/vuPwKJCgr2BVKOBKkpRyzk/img.jpg)
묘 앞에 있는 작은 석인입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k22cL/btrs7ngFsfV/3CK4PgxYsdbGRkSfxqcw11/img.jpg)
가장 큰 무덤을 왕온의 묘라고 추정하는데요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NKnSk/btrs7mB2YSY/S4P8GxHP6OeInbDKCJCn11/img.jpg)
무덤 앞에는 동백나무가 심겨져 있어서 동백꽃이 피면 정말 멋스러울 것 같네요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lyZhg/btrs7nnq2lg/CDG4XAZubTGAOXiXE3nBok/img.jpg)
이제 좀 있으면 꽃송이가 필 것 같아요.
다음 기회에 꽃이 피면 사진에 담으로 한 번 더 가봐야 겠어요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yh4ud/btrs7lQDBqQ/deHrodx1Vdsc71rc0IdUY0/img.jpg)
내려오는 길도 가파르기 때문에 조심 조심해서 내려와야 합니다.
40년 몽골 전쟁에서 너무 쉽게 항복한 왕조에 대한 삼별초군의 항전
역사는 누구를 더 오래 기억할까요.
왕온의 묘
전라남도 진도군 의신면 침계리 산45
주차 가능(무료)
'일상 > 여행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진도여행] 진도 여행일번지 전통남화의 성지 운림산방 소치기념관 (0) | 2022.02.14 |
---|---|
[진도여행] 진도풍경오토캠핑장과 운림삼별초공원 사천리물놀이장은 덤 (0) | 2022.02.14 |
[진도여행] 고려 삼별초 진도 용장성에서 항쟁 역사 이야기 (2) | 2022.01.25 |
[진도여행] 이충무공 승전공원과 해양에너지공원에서 잠시 쉬면서 진도 여행 계획해 보세요 (0) | 2022.01.25 |
강진여행 준비하세요 강진만생태공원에 꽃잔치가 열렸네요 (0) | 2021.11.07 |